본문 바로가기
경제

코스피 급락! 2025년 8월 1일 한국 주식시장 현황 및 대한조선 IPO 급등

by 열혈남아01 2025. 8. 1.

 

📉 코스피 급락! 2025년 8월 1일 한국 주식시장 현황 및 대한조선 IPO 급등

2025년 8월 1일 오전 11시 기준, 한국 증시는 코스피, 코스닥, 코스피 200, 선물지수 모두 급락했습니다. 글로벌 무역 불안과 외국인·기관의 매도세가 시장 전반을 압박하고 있으며, 대형주 중심의 하락과 ETF 투매가 더해져 공포 심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1️⃣ 주요 지수 현황

지수명 현재 지수 전일 대비 등락률
코스피 3,152.73 ▼ 92.71 -2.86%
코스닥 779.72 ▼ 25.52 -3.17%
코스피 200 425.53 ▼ 13.07 -2.98%
코스피 선물 425.25 ▼ 12.65 -2.89%

2️⃣ 하락 원인 분석

  • 글로벌 악재: 미국의 한국산 반도체·철강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예고로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 수급 불균형: 외국인·기관 중심 프로그램 매도 및 선물 청산.
  • 기술주 중심 매도 압력: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대형주 하락이 코스피 하락 견인.
  • ETF 투매 확산: 레버리지·코스닥150 ETF 등 고위험 상품 중심으로 개인 투자자 투매세 확대.
  • 심리적 공포 확산: 전날 강세였던 종목 중심으로 수익 실현 매물 + 지정학·환율 리스크 혼재.

3️⃣ 투자주체별 매매 흐름

투자 주체 흐름 특징 요약
외국인 순매도 우세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심 매도 → 지수 압박
기관 순매도 우세 프로그램 매도 및 선물 청산 중심
개인 순매수 대응 레버리지 ETF 및 급락 종목 저가 매수 진입

4️⃣ 상승 종목 TOP 10

순위 종목명 상승률 업종
1 대한조선 +81~86% 중대형 조선
2 스피어 +≈30% 게임·콘텐츠
3 에이치브이엠 +≈21% 2차전지 장비
4 우양 +25% 식품
5 LK삼양 +≈15% 정밀화학
6 아이에이 +≈20% 자동차 부품
7 엔케이 +16% 가스·플랜트
8 코데즈컴바인 +≈14% 의류
9 루미르 +≈12% LED 조명
10 미래에셋 -2X 美 AI +≈12% 인버스 ETN

➕ 대한조선 IPO 코멘트

대한조선은 2025년 8월 1일 코스피 신규 상장 기업으로, 공모가 5만원 대비 81~86% 급등하며 주목받았습니다.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275.7:1, 일반청약 경쟁률 238.1:1, 총 청약 증거금 17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조선업 호황,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한미 조선 기술 협력 기대감 등이 반영됐습니다.

5️⃣ 하락 종목 TOP 10

순위 종목명 하락률 업종
1 글로벌텍스프리 -29.9% 여행·면세
2 풍산 -15.4% 방산·구리
3 GS피앤엘 -9.8% 에너지
4 네오펙트 -9.5% 의료기기
5 풍산홀딩스 -9.3% 지주사
6 마이크로컨텍솔 -9.3% 전자부품
7 HD현대 -8.8% 중공업
8 코나아이 -8.7% 핀테크
9 한미사이언스 -8.6% 제약·지주회사
10 키움·미래에셋 레버리지 ETF -≈8% 레버리지 ETF

📌 글로벌텍스프리 급락 배경

글로벌텍스프리는 정부의 외국인 성형 부가세 환급 특례 제도 종료 발표(2025년 12월 31일부)로 인해 급락했습니다.
해당 제도는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성형·미용 시술을 받을 경우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세제 혜택으로, 2016년 도입됐습니다.
글로벌텍스프리는 이 부문에서 매출의 약 15~20%를 의존하고 있어 실적 악화 우려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6️⃣ 거래량 상위 종목 TOP 10

순위 종목명 등락률 특징 요약
1 삼성전자 -1.8% 외국인 중심 순매도 추정
2 대한조선 +80%대 IPO 상장 첫날 급등
3 KODEX 레버리지 -6.1% 개인 투자자 중심 매수
4 한화오션 +1.8% 방산 수주 기대감 유지
5 SK하이닉스 -5.3% 반도체 업황 약세 반영
6 KODEX 선물인버스2X +6.1% 하락장 대응 ETF 매수 확대
7 두산에너빌리티 -5.0% 정책 이슈 약화
8 KODEX 200 -3.1% 시장 수급 바로미터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6.1% 방산 고점 부담
10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7.5% 급매수 후 반락

🔚 결론 및 코멘트

  • 코스피 급락은 글로벌 무역 리스크, 외국인·기관 매도세, ETF 투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 글로벌텍스프리와 같은 개별 종목 급락은 정책 변화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사례.
  • 대한조선의 상장 급등은 IPO 시장 활력과 조선업 기대를 확인한 상징적인 사례로 해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