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업분석] (로봇) 클로봇 기업 분석 및 투자 포인트 총정리

by 열혈남아01 2025. 9. 8.

이미지 출처 : 클로봇 홈페이지

 

 

 

 

요약 · 본 글은 클로봇 기업분석을 통해 범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역량과 자회사 로아스 중심의 사업 구조, 재무/시장 환경을 점검하고, 단기·중기·장기 관점의 방향성 중심 클로봇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로봇 산업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이동하는 흐름 속에서, 클로봇의 플랫폼화 가능성과 리스크를 균형 있게 정리했습니다.

1) 기업 개요 및 차별화된 사업 모델

클로봇은 2017년 설립된 범용 자율주행 로봇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2024년 10월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 핵심 경쟁력은 두 솔루션입니다. 첫째, 제조사·모델에 상관없이 다양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CHAMELEON(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둘째,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수의 이기종 로봇을 통합 관리·모니터링하는 CROMS(멀티 로봇 관리 시스템)입니다. 이 조합은 혼재된 로봇 환경에서도 통합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고객의 총소유비용(TCO)을 낮춥니다.

2) 사업 구조 및 자회사 로아스(ROAS)

클로봇은 직접 로봇을 제조하기보다 소프트웨어·서비스 통합에 집중하고, 하드웨어 유통·커스터마이징은 자회사 로아스(ROAS)가 담당합니다. 로아스는 보스턴다이내믹스, Clearpath, Robotnik 등 글로벌 제조사와 파트너십을 맺어 국내 총판/대리점 역할을 수행하며 물류 자동화·연구용 플랫폼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부문 핵심 내용 특징/비고
솔루션(소프트웨어) CHAMELEON, CROMS 제조사 중립 범용성·확장성, 마진률이 높은 영역
서비스 의료·공공·물류 통합 구축/운영 레퍼런스 축적 → 유지보수/구독 매출의 지속성 강화
하드웨어(로아스) 글로벌 파트너 총판·커스터마이징 턴키 물류 자동화·연구용 플랫폼 등으로 외형 확대

3) 주요 사업 성과와 적용 사례

  • 의료: 국립암센터 자율주행 로봇 통합(검체/약제 배송, 소독, 회진 안내, 엘리베이터·자동문 연동)
  • 공공/문화: 국립중앙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지자체 청사 등 청소/안내 로봇 운영
  • 제조/물류: AI 팔레타이징·디팔레타이징, AGV/무인지게차 통합, 멀티벤더 로봇 관제

사례가 누적될수록 설치·운영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는 알고리즘 고도화와 서비스 수익(유지보수/구독)의 지속성으로 연결됩니다.

 

4) 재무 현황 및 성장세

클로봇의 매출은 2021년 124억 원에서 2024년 334억 원으로 성장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도 전년 대비 10%대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아직 영업적자이지만, R&D·인력 확충 구간의 비용 선투자 이후 수익성 개선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데이터 축적 효과·운영 효율화가 전환의 열쇠로 평가됩니다.

 

5) 시장 환경 및 성장 전망

  • 글로벌: AI·IoT·5G 융합으로 로봇 지능화·연결성 강화, 서비스/소프트웨어 비중 확대
  • 국내: 세계 최고 수준의 로봇 밀도와 정부의 로봇 산업 육성 정책으로 소프트웨어 단의 기회 확대
  • 고객 기반: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KT,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대기업·공공 레퍼런스 확장

6) 경쟁 환경 및 차별화 요소

국내에는 협동·서비스·물류·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로봇 기업이 존재하나, 클로봇은 제조사 중립 소프트웨어클라우드 기반 멀티 로봇 관제에 강점이 있습니다. 이 접근은 브랜드 혼재·표준 미비 등 현장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며, 고객의 이행 비용과 리스크를 낮춥니다.

7) 투자 지표 및 전문가 의견(개괄)

  • 밸류에이션: 성장 기대가 반영된 국면으로, 변동성 동반 가능
  • 목표가 컨센서스: 업계 보고서는 성장성·기술 경쟁력·시장 확대를 근거로 긍정적 톤을 제시
  • 체크 포인트: 소프트웨어 매출 믹스 확대, 유지보수/구독 비중, 대형 레퍼런스 계약의 질과 지속성

8) 투자 전략(방향성) – 단기·중기·장기

① 단기(6~12개월): 모멘텀·변동성 관리

정책 발표, 대형 레퍼런스 계약, 대기업 협업 뉴스 등 이벤트 드리븐 모멘텀에 주목하되, 테마 변동성을 감안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분기 실적 시즌에는 서비스 수주잔고·유지보수 비중·소프트웨어 매출 믹스 같은 선행 신호를 점검하십시오.

② 중기(1~3년): 실적 전환의 확인

수익성 개선 경로의 가시화가 핵심입니다. 데이터 축적 효과와 운영 효율화, 구독/유지보수 비중 상승이 손익에 반영되는지 확인하십시오. 로아스의 턴키 물류 자동화와 글로벌 파트너십이 규모의 경제로 이어지는지도 체크 포인트입니다.

③ 장기(3년 이상): 플랫폼화 가능성 베팅

이기종 로봇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표준으로 묶는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경우, 높은 영업레버리지현금흐름 창출이 가능합니다. 장기 관점에서는 산업 성장률, S/W 채택률(현장 확산 속도), 해외 레퍼런스 확대를 추적하며 클로봇 투자 전략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하십시오.

9) 결론

클로봇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 구조와 의료·공공·제조·물류 전반에서의 레퍼런스 확장을 바탕으로 성장 스토리를 보유합니다. 단기에는 정책·테마 모멘텀 활용, 중기에는 실적 전환 확인, 장기에는 플랫폼 지위 확립 가능성에 주목하는 방향성 중심 전략이 합리적입니다.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참고용 분석이며, 실제 투자 여부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결정되어야 합니다.

참고 링크

클로봇 공식 홈페이지 · 로아스(ROAS)